준식축 7년차 25평 아파트 반셀프 예산
공사 소음 동의서 – 바닥 보양 – 시스템에어컨 – 탄성 – 전기 & 목공 – 필름 –
도배 – 조명 설치 – 줄눈 & – 입주 청소 – 이사입주
일단 준식축 7년차 25평 아파트 반셀프 인테리어를 위한 공정 순서는 이렇게 잡았다. 시공해야 할 부분은 시스템에어컨 설치, 목공, 전기 조명, 도배, 탄성코트, 줄눈 등 정도만 할 예정이다. 마루바닥과 화장실도 다시 깨끗하게 하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비용이 1000만원 이상 추가로 들어가는 공사라서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는다. 할 때 한번에 하면 좋겠지만 예상이 너뭐 벗어나는 관계로 이정도만 진행하기로 했다.
시스템에어컨 4대 설치 450~550만원

24평~34평 기준 시스템에어컨 4대 설치 기준은 대략 450~550만원을 예산으로 잡으면 될 것 같다. 요즘은 방마다 하나씩 다 놓는게 추세라서 어쩔 수 없이 사용하지 않는 옷방에도 시스템에어컨을 설치했다. 삼성과 LG 시스템에어컨의 가격차이가 꽤나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견적을 받아보고 선택하면 될 것 같다. 성능의 차이는 크게 없어보이지만 LG를 선택하면 대략 50~70만원 비싸게 나온다.
20평대 아파트 도배 비용, 디아망? 실크벽지?

도배는 집의 크기도 있지만 어떤 도배지를 선택하냐에 따라서 견적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25평 기준 최고급 실크벽지인 디아망으로 도배를 진행할 경우 250~300 정도는 예상해야 한다. 아트월 도배, 초배지, 벽면 고르기 작업 등이 필요한 현장이라면 추가 요금이 더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정도를 기준으로 잡고 예산을 정하면 될 것 같다.
조금 더 저렴한 실크벽지인 베스티의 경우엔 200만원 이하로 예산이 내려간다. 샘플북을 봤는데 LX의 베스티 벽지도 종류도 다양하고 실제로 보면 정말 고급스럽고 질감도 굉장히 좋다. 사실 가격만 보면 가성비 높은 훌륭한 벽지다. 디아망이 좀 더 두껍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건 사실이지만 중급 실크벽지도 훌륭한 제품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예산에 맞게 선택하면 될 것 같다.
인테리어 필름은 생각보다 많이 비싸다.
인테리어 필름을 교체하는 비용은 생각보다 많이 비싸다. 오래된 집의 누렇게 변한 흰색인테리어 필름이나 샷시 프레임 등을 교체하는 작업을 인테리어 필름 교체 작업이라고 한다. 필름을 새롭게 새옷 입히듯 교체하는 작업인다.준식축 아파트 25평 기준 샷시 제외하고 주방, 방문, 현관 등 공용부만 교체한다면 대략 200~350 정도를 예산으로 잡아야 한다.

이게 여러군데에서 견적을 받았는데 가격 차이가 꽤나 크다. 셀인카페를 통해 알아보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차이가 크다고 한다. 다들 적당히 유명한 업체에서 하는 걸 추천하는데 그 이유가 진짜 엉망으로 작업을 해 놓는 업체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마감도 좋지 않고 떠버리고 벗겨지고 난리다.
전기와 목공 견적
목공의 경우 여러 목수님들의 견적을 받아본 결과 대게 거의 비슷한 가격이다. 아마 내가 얼만큼 목공 작업을 원하는지에 따라서 견적이 달라질 것 같다. 내 경우엔 우물천장과 실링팬 보강 3곳, 9미리 문선 4~5곳 리폼 작업만 진행할 예정인데 대략 150만원 정도의 견적을 받았다.
전기의 경우엔 어떻게 일을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견적이 크게 좌우 된다. 전기 조명 업체에 맡길지 , 또는 전기업자에게 자재를 따로 사다주고 인건비만 주고 할 지 선택하면 될 것 같다. 비용은 자재를 따로 사서 전기업자를 고용해 인건비만 주고 하는게 훨씬 저렴하다. 이때 꼭 검증된 전문가를 섭외하고 조언을 구하길 권한다. 25평 기준 실링팬 달고 다운라이트 넣고 여러곳에 간접조명 들어갈 경우 150~250만원 예상하면 된다.
전기는 다른 공정과 다르게 불량으로 끝나느게 아니라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공정이기 때문이다. 꼭 검증된 전문가에게 일을 맡겨야 한다. 전기 공사의 양이 적다면 조명업체에게 간단하게 맡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반셀프 진행하다 보면 신경 쓸 일이 한두개가 아니기 때문에 귀찮으면 적당히 맡기자.
줄눈과 탄성코트
탄성코트의 경우 25평의 세탁실, 실외기실, 안방 테라스, 대피실 등 4곳의 견적이 75만원이다. 평수가 크면 더 비쌀 것 같은데 대충 25평 기준으로 가감해주면 될 것 같다. 줄눈의 경우엔 화장실 2곳 바닥과 샤워부스 줄눈, 현관 바닥 줄눈의 견적이 140만원이다. 화장실은 모두 케라폭시 또는 스트라이크에보라는 줄눈으로 교체할 예정이고 현관만 조금 저렴한 폴리우레아 정도로 견적을 받았다. 줄눈 가격이 생각보다 너무 비싸서 셀프로 진행할 수 있다면 셀프로 할 예정안데 대략 줄눈 재료와 도구 비용에만 25만원 정도 들어갈 것 같다.
반셀프 인테리어를 진행하면서 업체들이 생각보다 인건비를 꽤 높게 책정한게 아닌가 생각된다. 재료비를 제외하면 대략 하루 인건비를 다들 35만원~50만원 정도로 잡는 것 같다. 나 같은 철밥 (용접, 선반, 밀링 등) 먹고 사는 사람들의 일당과 비교했을 때 굉장히 높은 인건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한다. 비판은 아니고 부러워서 쓰는…부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