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인 가구 생활비, 가계부 양식 다운!
오늘은 2인 가구 기준 1년 동안의 생활비를 꼼꼼히 확인하고 앞으로의 지출 관리 방향을 정리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저 역시 실제로 1월부터 12월까지 직접 엑셀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느꼈던 점과 앞으로의 목표를 담아봤어요. 제가 사용하는 가계부는 네이버 블로그 ‘suri1208’님의 엑셀 파일을 참고했습니다. 매년 올려주시는 양식이고 사용이 간편하고 수입, 지출 내역을 월별로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어 추천드려요. 전 지출 내역만 정리했습니다.
40대 부부, 2인 가구 1년 생활비는 얼마일까?
1월~12월까지 꾸준히 기록해야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오직 ‘지출’ 항목만 작성하여 1년 생활비의 최소금액을 파악했습니다. 아주 사소한 지출내역까지 모두 작성했고,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해서 나가는 지출내역도 모두 포함했습니다. ex) 휴대폰 교체, 사건 및 사고로 인한 병원비 등
고정비와 변동비는 구분했는데 큰 의미는 없습니다. 일단 매달 나가는 월세, 관리비, 통신비, 보험 등은 고정비로 분류하고, 식비, 생활용품, 외식·문화생활 등은 변동비로 설정했습니다. 나이가 점차 들어가니 변동비는 조금씩 줄여 나갈 수 있지만 고정비는 오히려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엑셀의 합계와 그래프가 각 월의 총지출 및 연간 총지출을 자동으로 산출해주기 때문에 1년 동안 사용한 실제 금액을 한 눈에 확인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suri1208’님의 엑셀 파일이 정말 쌍따봉이고 본인 가계부 작성에 맞다고 생각된다면 다운로드 받아서 작성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인 가구 가계부, 1분기 (1월, 2월, 3월) 지출 및 점검


1월 지출 내역 점검 / 2인 가구 생활비

2025년 1월에는 엄청나게 많은 돈을 지출했는데 무려 430만원이다. 아파트 이사관계로 가구를 몇개 구입했고, 커피머신이 고장나서 어쩔수 없이 -200만원의 지출이 발생했던 1월이었다. 1월엔 경주로 여행도 한번 다녀왔고 겨울 난방비가 평소보다 높게 나왔다. 내가 생각하는 평소 한달 총 지출은 170~180만원이기 때문에 위에 발생한 이벤트를 제외하면 대략 비슷한 지출을 한 것 같다.
2월 지출 내역 점검 / 2인 가구 생활비

2025년 2월은 마음먹고 절약한 달이다. 외식을 거의 안했고 커피도 대부분 집에서 마시고 외출시엔 텀블러를 사용해 지출을 줄였다. 1월에 비싼 커피머신을 구입했는데 당연한 일이다. 뽕 뽑으려면 몇년은 밖에서 커피 금지다. 2월엔 빵을 굽기 위해 가정용 오븐 -40만원을 지출했다. 생각보다 빵이 비싸서 직접 만들어 먹을 생각이다. 잘 될련지. 여행아닌 여행으로 당일치기 광주를 다녀온 2월이다. 2월 총 지출은 오븐이 아니었다면 140~150만원이었을텐데. 늘 뜻밖의 지출이 매달 발생한다.
3월 지출 내역 점검 / 2인 가구 생활비

2025년 3월 역시 뜻밖의 언럭키한 지출이 발생했다. 무려 스마트폰 고장으로 인한 교체비용 -100만원이다. 고장 안나게 커버를 단디 씌워서 다녀야겠다고 다짐과 의지를 불태운다. 결혼을 하고 나면 보통 격달로 여기저기 경조사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집의 3월은 장인어른 생신이 있는 달로 -50만원을 지출했다. 또 주말에 서울 상경 이벤트가 자주있어서 지출이 조금 발생했다. 이벤트를 제외하면 160~170만원의 지출이 있었다.
생활비에서 교통비가 거의 없는 이유
우리집의 경우 40대 맞벌이 부부의 한달 평균 생활비가 140~150만원이다. 사실 주말엔 외식을 자주하는 편인데도 이렇게 낮은 이유는 첫째, 전기차를 타기 때문에 유류비가 없다. 전기차로 바꾸기 전엔 한달 출퇴근 유류비만 40만원정도 지출했는데 현재는 한달에 4~5만원 정도 나가는 편이다. 가끔 회사 전기로 공짜로 충전하기도 한다. 둘째, 배달 음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 치킨, 족발, 피자, 보쌈, 햄버거 등의 배달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이유는 고기를 먹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딱히 시켜먹을 게 없다. 배달음식에 돈 쓸일이 없다. 셋째, 보험을 다 갈아 엎었다. 비정상적인 보험들을 다 갈아 엎었다. 딱 필요한 보험만 가입하고 다 해지해버렸다. 현재 납입하는 보험을 1인당 8~10만원 미만이다. 이건 젊을 때 일수록 빨리 정해서 잡아야 한다. 반값보험료 만들기 유튜브 채널을 참고했다. 넷째, 먹는 건 집에서 다 해먹자.
데치지 않고 베이글 만들기 실패한 후기, 새들은 위한 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