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 ctrl + F) 를 통해 원하는 용어를 찾으세요!
용접 공정 및 방법에 필요한 용어들
- 가접 (가용접, 테크용접): 본 용접 전 부재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 짧게 용접하는 것.
- 가스 용접: 산소와 아세틸렌 가스 등의 불꽃 열을 이용하는 용접.
- 금속 아크 용접: 용접봉과 모재 사이의 아크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
- 단락 아크 용접: 용접 와이어가 용융물에 닿을 때마다 단락 전류로 용융 방울을 만들어 모재로 옮겨가며 용접되는 방식 (탄산가스 아크 용접,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등).
- 마그(MAG) 용접: 불활성 가스에 활성 가스를 첨가한 분위기에서 용접 와이어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 미그(MIG) 용접: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의 일종으로 용접 와이어를 전극으로 사용하는 용접.
-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TIG, 티그 용접): 텅스텐 전극과 불활성 가스(알곤, 헬륨 등)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 서브머지드 용접 (잠호 용접): 플럭스 속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용접하는 방법.
- 시임 용접 (Seam 용접): 겹쳐진 모재를 롤러 모양 전극으로 압력을 가하며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용접하는 방법.
- 수동 용접: 용접 작업을 손으로 직접 수행하는 용접 방법.
- 아래보기: 용접봉이나 노즐이 아래쪽을 향하는 용접 자세.
- 버티칼 (수직 자세): 용접선이 수직인 자세로 용접하는 것.
- 위빙: 용접 진행 시 용접봉이나 토치를 좌우 또는 전후로 움직이며 용접하는 기술.
- 전진법: 용접 진행 방향으로 토치나 홀더를 약간 기울여 용접하는 방법.
- 후퇴법: 용접 진행 방향 반대쪽으로 토치나 홀더를 약간 기울여 용접하는 방법.
- 오토캐리지 (자동 용접): 필렛 용접 등에 사용되는 자동 용접 장비.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용융된 슬래그의 저항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 저항 용접: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열과 압력으로 접합하는 용접 방법 (맞대기 용접, 점 용접, 심 용접 등).
- 점 용접 (Spot Weld, 스폿 용접): 겹쳐진 모재를 전극으로 눌러 압력을 가하고 전류를 흘려 점 모양으로 용접하는 방법.
- 심(시임;Seam) 용접: 원판 모양 전극으로 겹쳐진 모재에 압력을 가하며 회전시켜 연속적인 점 용접을 하는 방법.
- 초음파 용접: 초음파 진동과 압력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용접 방법.
- 표면 경화 용접: 금속 표면에 경도가 높은 금속을 용착시켜 표면을 강화하는 용접.
- 펄스 아크 용접: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시 펄스 형태의 전류를 사용하는 용접 방법.
용접 부위 및 형태에 필요한 용어들
- 각장: 용접부 단면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 길이가 다르면 부등 각장이라고 함.
- 개선: 맞대기 이음 시 용접성을 높이기 위해 모재 끝단을 특정 각도로 절단한 형태 (I형, V형, U형, X형, K형, Y형 등).
- 개선 각도: 개선 시 모재 사이에 생기는 경사 각도.
- 루트: 용접 이음부의 가장 낮은 개선 끝부분.
- 루트 간격: 양쪽 모재의 루트와 루트 사이의 간격.
- 루트면: 날카로운 루트 부위를 그라인더 등으로 가공한 면.
- 맞대기 용접: 두 모재를 수평으로 맞물려 용접하는 이음 형태.
- 필렛(Fillet) 용접: 겹치기 이음, T형 이음, 모서리 이음에서 용착부가 삼각형 단면을 갖는 용접.
- 비드: 용접한 용착 금속의 형태.
- 백비드 (빽, 이면 비드): 한쪽 면 용접 시 반대쪽까지 생기는 용접 비드.
- 표면 비드 (파이널): 개선 홈 용접 또는 겹치기 용접 시 최종적으로 마무리하는 용접 비드.
- 크레이터 (Crater): 용접 비드의 끝에 생기는 움푹 들어간 부분.
- 크로스 부위: 용접선이 교차되는 부위.
- 여성: 모재면에서 튀어나온 용착 금속 부분 (일본식 표현).
용접 결함에 필요한 용어들
- 기공 (브로우홀, B/H): 용접 금속 내부에 생기는 구멍.
- 용입 불량: 용입 깊이가 충분하지 않아 내부에 슬래그 잔류나 미융착이 발생한 상태.
- 융합 불량: 용접 금속과 모재 또는 용접 금속과 용접 금속 사이가 제대로 융합되지 않은 상태.
- 오버랩: 용착 금속이 모재에 융합되지 않고 겹쳐진 상태.
- 용락: 용융 금속이 홈 끝의 뒤쪽으로 녹아 떨어지는 현상.
- 스패터: 용접 중 녹지 않고 주변으로 튀는 금속 입자.
- 슬래그: 용착 금속 표면을 덮는 비금속 물질.
- 언라인: 이음되는 두 부재가 어긋나 있는 상태.
- 핀홀: 주철 용접 시 발생하는 작은 기공.
용접 재료 및 장비에 필요한 용어들
- 용접봉: 피복 아크 용접 시 사용되는 용가재이자 전극.
- 와이어: 자동 용접 등에 사용되는 용가재이자 전극.
- 솔리드 와이어: 내부에 플럭스 성분이 없는 금속 재질 와이어.
- 플럭스 와이어: 내부에 플럭스가 들어 있는 관 모양의 용접 와이어.
- 심선: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를 제외한 금속 부분.
- 용가재: 용접 시 녹여 첨가하는 금속 (용접봉, 와이어, 납 등).
- 플럭스 (용재): 용접 시 산화물 제거, 아크 안정 등을 돕는 재료.
- 토치: 가스 용접 시 가스 혼합 및 유량 조절 기구.
- 절단 토치: 가스 절단 시 사용되는 토치.
- 절단 팁: 가스 절단 토치 끝부분의 부속품.
- 압력 조정기 (압력 게이지, 레귤레이터): 산소나 아세틸렌 가스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장치.
- 스풀 (와이어 릴): 와이어가 감겨 있는 틀.
- 홀더: 아크 용접 시 용접봉을 잡고 전류를 통하게 하는 손잡이형 기구.
- 전극: 용접 시 전원을 모재까지 연결하는 도체 (와이어, 용접봉, 전극봉 등).
- 전극 와이어: 용접용 와이어로 자체가 전극 역할을 함.
- 백킹재 (빽판): 용융 금속이 반대편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덧대는 재료.
- 크램프 (크람프): 재료 운반 공구.
- 집진기: 용접 시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용접 작업 및 자세에 필요한 용어들
- 곡직: 열 변형된 부재를 다시 열을 가해 곧게 펴는 작업.
- 예열: 급격한 냉각으로 인한 균열 방지를 위해 용접 전 모재에 열을 가하는 것.
- 후열: 용접 후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하는 것.
- 물량떼기: 전체 작업량을 기준으로 공사비를 받는 방식.
- 핏 업 검사 (Fit-up): 용접 전 부재의 조립 상태를 검사하는 것.
- 현장 용접: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설치 및 조립하며 용접하는 것.
용접 후 처리 및 검사에 필요한 용어들
- 리페어: 용접이나 취부 작업에서 발생한 하자를 수정하는 작업.
- 방사선 투과 시험 (RT, RT 검사, RT 테스트, R/T): 용접 후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 비파괴 검사: 용접 결과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내부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약물, 방사선, 초음파, 외관 검사 등).
- 열처리: 금속 재료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해 가열 및 냉각을 조절하는 작업.
- 불꽃 경화 (담금질): 금속 표면을 고온으로 가열 후 급랭하여 강도를 높이는 방법.
- 풀림: 가열 후 천천히 냉각하여 금속 재료의 뒤틀림을 교정하거나 안정화시키는 과정.
- 피닝: 용접부에 남은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용접 비드 주변을 망치로 두드리는 방법.
안전 및 기타 용어에 필요한 용어들
- 도비: 조선소 등에서 고소 작업, 운반, 신호 등을 담당하는 작업자.
- 드래그: 가스 절단면에서 절단 기류 입구점과 출구점 사이의 수평 거리.
- 경납: 450도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진 땜납.
- 연납: 450도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진 땜납.
- 연납땜: 연납을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법.
- 백플레이트 (빽판): 철판 플레이트.
- 브라켓: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의 부속.
- 비계 (족장, 아시바): 고소 작업 시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 구조물 (일본식 표현).
- 산화 불꽃: 중성 불꽃보다 산소량이 많은 가스 불꽃.
- 중성 불꽃: 산화 작용과 환원 작용을 하지 않는 불꽃.
- 환원 불꽃: 환원성이 강한 불꽃 (속불꽃).
- 수하 특성: 아크 용접 전원 특성 중 부하 전류 증가 시 단자 전압이 낮아지는 특성.
- 정전압 특성: 아크 용접 전원 특성 중 부하 전류 변화에도 단자 전압이 크게 변하지 않는 특성.
- 정극성: 직류 아크 용접 시 모재를 (+)극, 용접봉을 (-)극에 연결하는 방식.
- 전격: 강한 전류에 감전되었을 때 몸에 일어나는 충격.
- 전격 방지 장치: 누전 시 용접기 무부하 전압을 안전 전압 이하로 낮춰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
- 접지 (어스), 접속: 아크 용접 시 모재와 용접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
- 정격 전류: 용접기에 정해진 최대 허용 전류값.
- 용접면: 용접 작업 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 장비.
- 응력 (장력): 물체에 외부 힘이 작용할 때 내부에 발생하는 저항력.
- 인성: 충격에 견디는 성질.
- 인장력: 물체를 잡아당겨 늘어뜨리려는 힘.
- 인장 강도: 물체가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
- 전공: 전기 설비의 접속, 배선 등을 담당하는 작업자.
- 팬 (Fan): 환풍기, 송풍기.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