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가재 선택에 필요한 기준은?
- 융점 : 브레이징 시 사용되는 납재의 융점이 작업의 핵심 요소입니다. 모재의 열 영향을 고려해 적합한 융점을 가진 납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 용융온도 범위 : 용융온도 범위는 고상온도(납재가 녹기 시작하는 온도)와 액상온도(완전히 녹는 온도) 차이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가열조건과 작업방법에 맞는 온도 범위가 중요합니다.
- 유동성 : 납재의 유동성은 젖음성과 퍼짐성에 영향을 미치며, 모재의 종류, 표면 상태, 브레이징 온도, 플럭스의 종류 등이 영향을 줍니다. 이는 작업의 품질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 강도 : 브레이징 결합부의 강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결합부의 인장강도, 전단강도는 납재의 종류뿐 아니라 브레이징 조건, 환경 등에 따라 좌우되므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증기압 : 증기압은 작업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입니다. 예를 들어, 진공 브레이징에서 은납 성분의 휘발성을 고려해야 하며, Cadmium이나 아연 등의 증발 특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 내식성 : 브레이징 결합부의 부식 가능성은 모재, 플럭스, 환경에 따라 결정됩니다. 특히 플럭스 잔여물 등이 부식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내식성이 좋은 납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 색상 : 주로 장식용 브레이징에서는 모재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는 납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경제성 : 은납재는 은의 함량에 따라 경제성이 달라집니다. 은이 많을수록 비용이 높지만 결합부의 품질이 높아질 수 있어, 경제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은합금 브레이징 용가재 특성

인동 브레이징 용가재 특성

니켈 브레이징 용가재 특성

알루미늄 브레이징 용가재 특징

동 및 동합금 용가재 특성

자료 출처 및 참고 : 대경테크원 바로가기